마지막 키워드, [고금리·고물가에 고개 드는 은행 대출 연체율] 이네요. <br /> <br />연체율이 또 올랐다는 건, 그만큼 어려운 분들이 많다는 거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돈을 빌리고 제때 갚지 못하는 분들이 늘고 있는 건데요. <br /> <br />가계와 기업 할 것 없이 연체율이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금감원 자료 한 번 볼까요. <br /> <br />4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대출 연체율은 0.48%입니다. <br /> <br />3월 말보다 0.05%p 올랐죠. <br /> <br />수치로 보면 크지 않지만, 이게 추세가 중요하거든요. <br /> <br />올해 2월 은행 연체율이 0.5%가 넘어 4년 9개월 만에 최고치였습니다. <br /> <br />3월에는 0.4%대로 꺾였는데, 이 추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반등했습니다. <br /> <br />가계 연체율은 0.4%였는데 특히 신용대출 오름폭이 컸습니다. <br /> <br />기업 연체율도 올라 0.54%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런 추세가 앞으로도 이어질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그게 더 큰 문제인데요. <br /> <br />앞으로도 연체율이 오를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앞서 살펴봤듯이, 미국 기준금리 인하 횟수 전망이 세 차례에서 한 차례로 줄었잖아요. <br /> <br />경제지표에 따라 두 차례까지 늘 수 있지 않나 시장 기대는 있지만, 애초 전망보다는 어두워진 게 사실이죠. <br /> <br />그러다 보니 한국은행도 금리 인하에 더 신중해질 수밖에 없겠죠. <br /> <br />한미 금리 차가 2%p로 이미 역대 최대인 만큼 우리가 먼저 인하에 나서기에는 부담이 크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점을 고려하면 고금리 기조가 길어지는 가운데 물가도 여전히 높아 가계와 기업의 이자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금감원도 고금리와 고물가로 경기에 민감한 개인사업자 등 취약차주의 연체율이 높아질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은행권 채무조정을 활성화해 취약차주 상환 부담을 줄이도록 유도하겠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형원 (lhw90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61417152044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